반응형
위험기계/기구 사용 시 주의사항
작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기계·기구는 생산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되지만, 동시에 잠재적인 사고 위험을 안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위험기계 및 기구 사용 시 꼭 지켜야 할 주의사항과, 실수하기 쉬운 실무 포인트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위험기계/기구란?
산업안전보건법상 위험기계·기구란, 작업자의 신체에 직접적인 위해를 줄 수 있는 기계류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설비들이 이에 해당합니다.
- 프레스, 전단기, 절단기, 컨베이어
- 지게차, 호이스트, 크레인
- 그라인더, 절곡기, 드릴머신 등 회전체 장비
2. 위험기계 사용 시 주요 사고 유형
- 끼임: 회전체나 움직이는 부위에 옷·손이 말려들어가는 사고
- 절단·베임: 날카로운 칼날, 공구 등에 의해 손가락이나 팔다리 부상
- 충돌·낙하: 중장비 운용 시 충돌, 지게차 낙하물로 인한 사고
대부분의 사고는 보호장치 미설치, 방심, 절차 무시로 인해 발생합니다.
3. 사용 전 반드시 확인할 사항
- 기계 이상 여부 점검: 소리, 진동, 유압 상태 등 정상 작동 여부
- 안전장치 확인: 비상정지 버튼, 커버, 센서 작동 확인
- 주변 정리 상태 확인: 바닥에 미끄럼 요소나 장애물이 없는지
- 사용자 자격 확인: 해당 장비 사용 교육을 이수했는가
4. 작업 중 절대 해서는 안 되는 행동
- 작동 중 기계 내부에 손 넣기
- 보호장치 임의 제거 또는 우회
- 운전 중 기계 주변 정비 또는 청소
- 지게차에 사람 태우기, 무단 탑승
5. 사고 예방을 위한 좋은 습관
- 작업 전·후 “기계 일상점검표” 작성
- 비상상황 발생 시 즉시 정지 버튼 위치 숙지
- 2인 1조 작업 원칙 적용 (특히 협착·절단 위험 장비)
- 작업 전 5분 안전 미팅 실시
마무리하며
기계는 도구일 뿐, 통제하지 않으면 흉기가 될 수 있습니다. 기계는 조심해서 다루는 것이 기본입니다.
작업 전 확인, 작업 중 집중, 작업 후 정리까지. 이것이 안전의 기본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산재 예방을 위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를 안내드리겠습니다.
📌 관련 키워드 (검색 최적화용)
위험기계 사용법, 기계작업 안전수칙, 프레스 사고예방, 지게차 안전운전, 산업기계 관리기준, 작업장 장비 점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