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안전환경 이야기 – 3부: 작업장 내 기본 안전수칙 TOP 10

glowee 2025. 6. 23. 14:18
반응형

작업장 내 기본 안전수칙 TOP 10

사고는 사소한 부주의에서 시작됩니다. 하지만 반대로 말하면, 기본 수칙만 잘 지켜도 대부분의 사고는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우리 회사 모든 직원이 반드시 숙지해야 할 작업장 내 안전수칙 10가지를 정리해드립니다.

1. 개인 보호구(PPE) 착용 철저

작업 전에는 반드시 작업에 적합한 보호구(안전화, 보호안경, 장갑 등)를 착용해야 합니다.
PPE는 내 몸을 지켜주는 최소한의 방패입니다.

2. 기계 작동 전 ‘점검 후 가동’

설비나 기계를 작동하기 전에는 정상 상태인지 점검한 후 가동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특히 비상정지 버튼, 가드(안전덮개) 확인은 필수입니다.

3. 작업 중 휴대폰 사용 금지

집중이 필요한 작업 중에는 휴대폰, 이어폰, 개인 음향기기 사용을 금지합니다.
순간의 한눈팔림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4. 정리정돈은 사고예방의 기본

작업 후에는 공구, 자재, 폐기물 등을 제자리에 정리해야 합니다.
바닥에 흩어진 공구 하나가 넘어짐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5. 밀폐공간·고소작업 시 특별관리

좁고 공기 흐름이 없는 공간이나, 높은 곳에서 작업할 경우에는 반드시 안전조치 이행 여부를 확인한 후 작업해야 합니다.
관련 교육을 이수한 작업자만 투입되어야 합니다.

6. 화학물질 취급 시 MSDS 확인

유해물질이나 화학제품을 취급하기 전에는 MSDS(물질안전보건자료)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보관 방법, 응급처치법도 함께 숙지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7. 비상구 및 소화기 위치 숙지

화재, 정전, 붕괴 등의 사고 발생 시 빠르게 대응하려면 비상구, 소화기, AED 등의 위치를 평소에 숙지해 두어야 합니다.

8. 무리한 동작·혼자 작업 금지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위험한 작업을 할 때는 반드시 2인 1조 또는 보조장비 사용을 원칙으로 합니다.
무리한 동작은 근골격계 질환의 원인이 됩니다.

9. 이상 발견 시 즉시 보고

기계 이상, 누수, 전선 손상 등을 발견했을 경우 즉시 담당자나 관리부서에 보고해야 합니다.
“설마 괜찮겠지”는 금물입니다.

10. 아는 척 말고 모르면 질문!

처음 해보는 작업이거나, 절차가 헷갈릴 경우 혼자 판단하지 말고 반드시 질문하세요.
질문은 실수를 줄이는 가장 확실한 예방책입니다.

마무리하며

모든 안전은 기본에서 시작됩니다. 안전수칙을 외우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실제로 습관처럼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주부터 부서 회의 때 이 TOP 10 체크리스트를 함께 점검해보는 건 어떨까요?
다음 글에서는 “PPE(개인 보호구)의 종류와 착용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관련 키워드 (검색 최적화용)

작업장 안전수칙, 산업안전 기본, 작업자 안전교육, 작업장 사고예방, PPE 착용 기준, 사내 안전 캠페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