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안전환경 이야기 – 6부: 산재 예방을 위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
glowee
2025. 6. 26. 14:05
반응형
산재 예방을 위한 사전점검 체크리스트
“사고는 항상 갑자기 발생한다”는 말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대부분의 산업재해는 사전에 점검하고 대비했다면 막을 수 있는 사고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산재 예방을 위한 사전점검 항목
1. 사전점검이 중요한 이유
- 기계 고장이나 작업환경 이상을 사고 발생 전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 작업자의 주의 환기 및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 점검기록을 통해 관리자의 관리 이력과 책임 이행 증명이 가능합니다.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점검하고, 기록으로 남긴다.”
이것이 사전점검의 핵심입니다.
2. 사전점검 체크리스트 (기본형)
점검 항목 | 점검 내용 | 점검 결과 |
---|---|---|
기계 상태 | 이상 진동/소음, 누유, 부품 손상 여부 | 정상 / 이상 |
보호장치 | 비상정지, 센서, 커버 등 작동 확인 | 정상 / 이상 |
전기설비 | 코드, 콘센트, 배선 손상 여부 | 정상 / 이상 |
PPE 착용 | 안전화, 장갑, 안경, 마스크 착용 상태 | 정상 / 미착용 |
작업장 정리 | 바닥, 통로, 출입구 주변 장애물 여부 | 정상 / 이상 |
화재 예방 | 소화기, 비상구, 인화물질 적정 관리 | 정상 / 이상 |
3. 점검 방법 팁
- 점검은 작업 시작 전 5분 안에 완료하도록 습관화합니다.
- 눈으로만 보지 말고, 직접 눌러보고 만져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상 발견 시에는 반드시 작업 중지 후 보고하고 조치받아야 합니다.
- 점검표는 서면 또는 전산(엑셀/앱 등)으로 기록해 보관합니다.
4. 점검 체크리스트 활용 사례
우리 회사에서는 매주 월요일 오전, 부서별 사전점검의 날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날은 조별로 현장을 순회하며 이상 여부를 점검하고, 발견된 사항은 관리자에게 보고 후 개선계획을 수립합니다.
이처럼 점검이 반복되면 자연스럽게 “주의 깊게 현장을 살피는 문화”가 정착됩니다.
마무리하며
사고는 예고 없이 오지만, 예방은 매일 반복되는 작은 습관에서 시작됩니다.
오늘부터라도 팀원들과 함께 사전점검표를 만들어 실천해 보세요.
다음 글에서는 “사업장 내 환경오염 방지 활동 사례”를 소개하겠습니다.
📌 관련 키워드 (검색 최적화용)
산재 예방, 사전점검 체크리스트, 작업 전 점검 항목, 안전 점검표, 산업재해 방지, 작업장 안전 점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