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안전환경 이야기 – 9부: 유해화학물질 취급 시 안전관리 방법

glowee 2025. 6. 29. 14:14
반응형

유해화학물질 취급 시 안전관리 방법

유해화학물질은 작은 실수 하나로도 인명 사고와 환경오염으로 이어질 수 있는 고위험 물질입니다.
제조업 현장에서는 다양한 화학약품이 사용되기 때문에, 정확한 지식과 안전수칙 준수가 필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유해화학물질을 안전하게 취급하기 위한 관리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유해화학물질이란?

유해화학물질은 사람의 건강 또는 환경에 위해를 줄 수 있는 성질을 가진 화학물질입니다.
산업안전보건법과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물질은 특별관리 대상입니다.

  • 가연성/폭발성 물질 (예: 아세톤, 휘발유)
  • 부식성 물질 (예: 황산, 염산)
  • 독성 물질 (예: 톨루엔, 포름알데히드)
  • 발암성, 생식독성 물질

※ MSDS(물질안전보건자료)에 따라 적절한 취급, 저장, 폐기 기준을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2. 안전관리 기본 원칙

  • 1. MSDS 숙지: 모든 작업자는 해당 화학물질의 MSDS를 사전 숙지해야 함
  • 2. 전용 보관 장소 확보: 물질별 특성에 맞는 전용 보관장소 및 용기 사용
  • 3. 누출·접촉 사고 대비: 유출 차단키트, 보호복, 샤워기 등 비상대응 설비 확보
  • 4. 교육 및 훈련: 연 1회 이상 취급자 대상 안전교육 및 실습 훈련

3. 화학물질 취급 시 PPE 착용 기준

취급 물질 필수 보호구 추가 주의사항
산성/염기성 액체 고무장갑, 고글, 방수 앞치마 스플래시 방지를 위한 저속 주입
휘발성 유기화합물 방진마스크, 환기장치 불꽃·정전기 차단, 밀폐공간 금지
분말형 화학약품 방진마스크, 장갑 눈·호흡기 접촉 주의, 습윤상태 보관 권장

4. 유해화학물질 보관 시 주의사항

  • 라벨 부착 의무화: 모든 용기에는 한글로 된 물질명과 경고문구 라벨 부착
  • 구역별 분리보관: 산과 염기는 서로 떨어진 곳에 저장
  • 밀폐·차단 보관: 공기노출 방지, 잠금장치 설치
  • 잔량 임의 혼합 금지: 서로 다른 물질을 임의로 섞지 말 것

5. 사고 발생 시 응급 조치 요령

  • 피부 접촉: 즉시 흐르는 물로 15분 이상 세척
  • 눈에 튐: 생리식염수 또는 물로 즉시 세척하고 병원 이동
  • 흡입: 신선한 공기로 이동 후 호흡 곤란 시 119 신고
  • 누출 발생: 누출 부위를 밀폐하고, 차단제나 흡착포로 빠르게 제어

마무리하며

유해화학물질은 안전하게 관리하면 유용하지만, 방심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 습득과 반복적인 훈련이야말로 사고를 예방하는 가장 강력한 무기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MSDS(물질안전보건자료) 제대로 이해하기”를 소개하겠습니다.


📌 관련 키워드 (검색 최적화용)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산업화학물질 취급법, MSDS 교육, 화학약품 보관 기준, 화학물질 사고 대응, 작업장 유해물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