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ESG 평가기관과 지표 완전 정리_ ESG 평가란 무엇인가?

glowee 2025. 8. 23. 10:00
반응형


ESG 평가란 무엇인가?



ESG 경영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우리는 친환경 기업이다”라고 주장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이를 객관적 지표와 평가기관의 검증을 통해 입증해야 합니다. ESG 평가는 전 세계 투자자와 소비자들이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확인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 투자자 입장: ESG 평가 점수가 높은 기업은 장기적으로 리스크가 적고 지속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 기업 입장: ESG 평가 지표는 글로벌 시장 진출, 조달 참여, 투자 유치 과정에서 신뢰성을 높여줌



주요 글로벌 ESG 평가기관

1. MSCI (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 개요: 세계 최대 금융정보 제공사 중 하나로, 기업의 ESG 리스크와 기회를 분석
• 평가 등급: AAA (최상위) ~ CCC (최하위)
• 특징: 투자자들이 가장 널리 참고하는 ESG 평가 지표
• 활용: 글로벌 펀드와 기관투자자들이 기업 선정 시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



2. DJSI (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 다우존스 지속가능성 지수)
• 개요: 미국 S&P 다우존스 지수와 스위스 RobecoSAM이 공동 개발
• 평가 방식: 경제·환경·사회 전반을 평가하여 지속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선정
• 특징: 전 세계 상위 10% 기업만이 DJSI 월드 지수에 편입
• 활용: ESG 우수 기업의 상징적 지표 → 글로벌 브랜드 가치 강화



3. CDP (Carbon Disclosure Project, 탄소공개프로젝트)
• 개요: 영국 비영리기관이 운영하는 글로벌 환경 평가 프로젝트
• 평가 대상: 온실가스 배출, 기후변화 대응, 수자원 관리, 산림 자원 보존
• 등급 체계: A~D (A가 최고 등급)
• 의의: 기후 리스크 대응을 가장 구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지표



국내 ESG 평가

4. K-ESG 가이드라인
• 주관: 산업통상자원부
• 목적: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ESG 흐름에 대응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지표 제공
• 평가 항목: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총 61개 세부지표
• 특징: 중소기업도 활용할 수 있도록 단순화된 지표 제공
• 활용: 공공조달, 금융 지원, ESG 공시 의무화 대비



ESG 평가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
1. 투자 유치: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은 ESG 점수가 낮은 기업을 투자에서 제외하기도 함
2. 공공조달 참여: ESG 평가 결과는 공공기관의 협력업체 선정 시 가점 요소
3. 브랜드 가치 상승: 소비자들이 ESG 우수 기업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
4. 리스크 관리: 환경 규제 강화, 사회적 논란 발생 시 기업이 받을 충격 최소화



기업이 ESG 평가를 준비하는 방법
• 정량적 지표 관리: 탄소 배출량, 에너지 사용량, 안전보건 데이터 수집
• 정성적 지표 관리: 윤리경영, 인권경영, 다양성, 이사회 독립성 강화
• 보고서 작성: ESG 보고서를 매년 발간하여 이해관계자에게 투명하게 공개
• 인증 및 검증: ISO 14001, ISO 45001, 친환경 인증을 통해 객관성 확보



마무리

4부에서는 ESG 평가기관과 지표(MSCI, DJSI, CDP, K-ESG)를 살펴봤습니다.
다음 5부에서는 그린워싱(Greenwashing) 사례 분석을 다루며, ESG 활동을 강조하지만 실제로는 비판받았던 기업 사례를 구체적으로 소개하겠습니다.

반응형